Last Updated on 2023-10-03 by BallPen
궤도각운동량과 스핀각운동량에 관한 예제를 하나 풀어보겠습니다.
각운동량 예제 하나를 풀어 볼께요. 이 문제를 풀면 각운동량을 많이 이해할 수 있어요.
이전 운동량에 관한 글에서 입자계의 각운동량(angular momentum)은 궤도각운동량과 스핀각운동량으로 분해될 수 있고, 이들의 합이 전체 각운동량을 이룬다고 말씀드렸어요.
그렇다면 그 값은 각운동량에 대한 기본 정의식으로 구한 전체 각운동량과 정말 같을까요?
이번 글에서 그 두 결과가 같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아래는 이번 글의 목차입니다.
1. 각운동량 복습
아래는 각운동량에 관한 주요 내용입니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운동량에 관한 이전 글을 참고하세요.
1-1. 점입자의 각운동량
질량 m인 아주 작은 점입자가 반지름 r인 원궤도를 따라 접선속도 v로 회전할 때 점입자의 각운동량 L은 다음과 같이 주어집니다.
L=r×mv=r×p(1)
이때 p는 선운동량이라 부릅니다.
1-2. 입자계의 각운동량
점입자가 여러개 모여 입자계를 구성한 경우, 입자계의 총 각운동량은 각 입자의 각운동량을 벡터합하면 됩니다.
L=∑(ri×mvi)=∑(ri×pi)(2)
위에 있는 (1)식과 (2)식을 각운동량에 대한 기본 정의식이라 합니다.
[궤도각운동량과 스핀각운동량]
(2)식의 기본 정의식을 입자계 질량중심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변형할 수 있는데요. 그러면 (2)식은 두 개 항의 합으로 정리될 수 있습니다.
그 중 첫번째 항은 입자계 질량중심의 공전에 대응하는 궤도각운동량이고, 두번째 항은 질량중심을 회전축으로 하는 입자계의 자전에 대응하는 스핀각운동량이에요.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rcm×mvcm)+∑(riˉ×miviˉ)(3)
그러면 (2)식의 기본정의식과 (3)식의 궤도각운동량과 스핀각운동량의 합으로 구한 결과들이 서로 같은지 예제를 하나 풀어보겠습니다.
2. 각운동량 예제 풀이
[예제]
[그림 1]과 같이 길이가 d, 질량이 m, 선밀도가 λ인 막대 하나가 있다. 이 막대 한 끝을 회전축으로 하여 막대가 일정한 각속도 ω로 회전하고 있다. 막대의 전체 각운동량은 얼마인가? 이때 막대는 두께가 아주 얇아 길이 성분만 갖는 것으로 가정하겠습니다.
[그림 1] 두께를 무시할 수 있는 막대의 한 끝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막대 (막대 4개가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막대 하나가 시간에 따라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입니다. 또한 cm은 막대의 질량중심점으로 2d인 곳에 위치합니다.)
2-1. 기본 정의식으로 구한 총 각운동량
막대는 [그림 1]처럼 막대의 한끝을 회전축으로 하여 일정한 각속도 ω로 회전하고 있어요. 이때 막대는 균일하기 때문에 막대의 질량 중심인 cm점은 막대의 중간 위치인 d/2 지점에 있어요.
먼저 막대의 전체 각운동량을 기본 정의식인 (2)식을 통해 구해보겠습니다.
막대의 회전축으로부터 거리 r만큼 떨어진 곳에 아주 작은 질량요소 dm이 접선속도 v로 공전하고 있다고 생각해봐요.
그러면 기본 정의식으로부터 그 질량요소 하나가 갖는 미소 각운동량 dL은 (1)식을 통해 다음과 같이 주어집니다.
dL=r×dp=r×(dm)v=rr^×(dm)vv^=r(λdr)rω(r^×v^)=r2ωλdrk^(4)
윗 식에서 접선속도와 각속도의 관계 v=rw가 활용되었고, 선밀도를 고려하여 미소질량 dm=λdr의 관계가 활용되었습니다.
또한 단위벡터 사이의 외적 r^×v^=k^로 정하였습니다. k^는 막대가 회전하는 평면을 x, y평면이라고 했을 때 이에 수직한 z방향을 뜻합니다.
그러면 이제 미소 각운동량을 이용하여 막대 전체의 각운동량을 구하면 되는데요. 막대를 구성하는 입자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2)식의 ∑대신에 적분을 해주어야 합니다.
즉 아래와 같이 적분하면 막대의 총 각운동량 L을 구할 수 있어요. 이때 막대의 길이가 d이므로 r에 대한 적분 구간은 0에서부터 d까지로 하면 됩니다.
L=∫0ddL=∫0dr2ωλdrk^=ωλ∫0dr2drk^=ωλ[3r3]0dk^=31d3ωλk^=31(dλ)ωd2k^=31mωd2k^(5)
그 결과 기본 정의식으로 구한 막대의 총 각운동량은 31mωd2k^입니다.
그러면 이번에는 (3)식을 이용해서도 구해봐야겠죠.
2-2. 궤도와 스핀각운동량의 합으로 구한 총 각운동량
식 (3)이 저 위에 있으니 보기가 불편해요. 그래서 아래에 식 (6)으로 다시 쓸게요.
L=(rcm×mvcm)+∑(riˉ×miviˉ)(6)
위 식에서 첫번째 항은 입자계 질량중심의 공전에 의한 궤도각운동량이고, 두번째 항은 질량중심을 회전축으로 하는 입자계의 자전에 대응하는 스핀각운동량이라고 했어요.
이것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그림 2]와 [그림 3]으로 나타낼 수 있어요. 바꾸어 말하면 예제에 주어진 [그림 1]의 막대 운동은 [그림 2]의 운동과 [그림 3]의 운동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운동인거에요.
[궤도각운동량]
먼저 궤도각운동량을 구해볼 텐데요.
[그림 2]는 막대의 전체 질량 m이 질량중심점 cm에 모여있고, 그 점입자가 반지름이 rcm=d/2인 원경로를 따라 접선속력 vcm으로 공전하는 모습이에요.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은 점입자는 공전만 하고 있고 자전하지 않는다고 생각해야 해요. 왜냐면 공전에 의한 궤도각운동량 만을 구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그림 2] 막대의 모든 질량이 질량중심점에 모여 공전하는 모습. 그러므로 궤도 각운동량이 존재합니다.
그러면 (3)식의 첫번째 항을 이용해 궤도각운동량 Lorbital을 구해보겠습니다.
Lorbital=rcm×mvcm=rcmr^cm×mvcmv^cm=rcmr^cm×m(rcmω)v^cm=(2d)r^cm×m(2d)ωv^cm=41mωd2(r^cm×v^cm)=41mωd2k^(7)
여기서 단위벡터 사이의 외적 r^cm×v^cm=k^로 정하였습니다.
그 결과 궤도각운동량의 크기는 Lorbital=41mωd2으로 주어짐을 알 수 있어요.
[스핀각운동량]
이번에는 스핀각운동량을 구해보겠습니다. 아래 [그림 3]은 질량중심인 cm 점을 기준으로 막대가 제자리에서 자전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그림 3] 질량중심점을 기준으로 막대가 자전하는 모습. 따라서 스핀각운동량이 존재합니다.
다시 한번 더 말씀드리지만 [그림 2]와 [그림 3] 운동의 조합이 [그림 1]이 되는거에요.
그런데 [그림 2]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이해하는데 [그림 3]과 같이 정말 막대가 제자리에서 자전하는 운동이 [그림 1]에 포함되어 있느냐를 궁금해 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런데 자전한 것이 맞아요. 만일 막대가 질량중심점을 기준으로 자전하지 않으면서 공전만했다면 그 물체의 운동 궤적은 아래 [그림 4]와 같이 됩니다.
[그림 4] 막대가 자전하지 않으면서 회전축 주변을 공전하는 모습. 이 경우 궤도각운동량은 0이 아니지만 스핀각운동량은 0입니다.
[그림 1]과는 분명히 다른 운동임을 알 수 있어요. [그림 4]와 같이 운동하는 경우 궤도각운동량은 식(7)로 주어지지만 물체가 질량중심점을 기준으로 자전하지 않기 때문에 스핀각운동량은 0이 됩니다.
이제부터 [그림 3]에 대한 스핀각운동량 Lspin을 구해볼 텐데요. (6)식에서 스핀각운동량 부분만을 따로 쓰면 아래와 같습니다.
Lspin=∑(riˉ×miviˉ)(8)
한편 어떤 물체가 자전한다고 함은 그 물체를 구성하는 수많은 점입자들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각속도를 갖고 공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어요.
그러므로 (8)식은 질량중심점을 기준으로 rˉi만큼 떨어진 곳에 있는 질량 mi인 입자가 접선속도 vˉi로 공전할 때 갖는 각운동량을 모든 입자에 대해 합하면 자전에 의한 스핀각운동량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입자들이 연속적으로 분포한 막대를 다루고 있으므로 (8)식에 있는 ∑은 적분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그래서 질량중심 축으로부터 거리 rˉ만큼 떨어진 곳에 아주 작은 질량요소 dm이 접선속도 vˉ로 공전할 때, 그 질량요소 하나가 갖는 미소 각운동량 dL은 다음 (9)식과 같이 주어집니다.
dL=r2ωλdrk^(9)
(4)식을 동일하게 활용한 것 뿐입니다.
그리고 자전하는 막대의 회전 반지름이 r=0에서 d/2까지 변하는데, 그것이 2개가 있으므로 스핀각운동량 Lspin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어요.
Lspin=2∫0d/2dL=2∫0d/2r2ωλdrk^=2ωλ∫0d/2r2drk^=2ωλ[3r3]0d/2k^=121d3ωλk^=121(dλ)ωd2k^=121mωd2k^(10)
그 결과 스핀각운동량의 크기는 Lspin=121mωd2으로 주어짐을 알 수 있어요.
[총 각운동량]
지금까지 회전하는 막대의 궤도각운동량과 스핀각운동량을 각각 구했으니 총 각운동량을 구해보겠습니다.
(7)식의 궤도각운동량과 (10)식의 스핀각운동량을 합하면 됩니다.
L=Lorbital+Lspin=41mωd2k^+121mωd2k^=31mωd2k^(11)
그 결과 총 각운동량의 크기가 31mωd2이 나왔는데요. 이 값은 (5)식의 기본정의식으로 구한 총 각운동량의 크기와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따라서 총 각운동량은 궤도각운동량과 스핀각운동량의 합으로 주어지는 것이 맞습니다.
흥미롭고 도움이 되는 글이었나요? 리뷰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