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치행렬(Transpose Matrix)

Last Updated on 2024-11-06 by BallPen

전치행렬(Transpose Matrix)이란 어떤 행렬의 행과 열을 맞바꾼 행렬을 뜻합니다. 이를 기호로 쓰면 어떤 행렬 M의 전치행렬은 M^T로 표기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의 3 \times 3 행렬 M에 대한 전치행렬 M^{T}는 다음과 같아요.

\tag{D1}
M = 
\begin{pmatrix}
1 & 2 & 3\\
4 & 5 & 6\\
7 & 8 & 9
\end{pmatrix}

~~~~~
\rightarrow
~~~~~
M^{T} = 
\begin{pmatrix}
1 & 4 & 7\\
2 & 5 & 8\\
3 & 6 & 9
\end{pmatrix}

전치행렬은 직교 대각화 문제(행렬의 대각화 조건), 직교행렬등을 이해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개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치행렬이 어떻게 정의되며 그 성질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아래는 이번 글의 목차에요.

행렬(matrix)이란 한 개 이상의 수를 직사각형 배열로 만든 것을 말합니다. 이때 숫자 배열의 가로 방향을 행, 세로 방향을 열이라고 부르죠.

행렬의 크기는 보통 m \times n이라고 표기하는데요. 여기서 m는 행의 갯수, n은 열의 갯수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1 \times 3행렬, 즉 1행 3열의 크기를 갖는 행렬을 M_1이라고 할 때 그 모양은 다음과 같아요. 행렬안에 있는 a_{11}, a_{12}, a_{13}는 숫자(또는 식)로써 행렬의 원소라고 불리는데요. a_{13}은 1행 3열 원소를 뜻합니다.

\tag{1-1}
M_1 = 
\begin{pmatrix}
a_{11} & a_{12} & a_{13}
\end{pmatrix}

이런 방식으로 2 \times 3 행렬, 즉 2행 3열의 크기를 갖는 행렬은 다음과 같아요.

\tag{1-2}
M_2 = 
\begin{pmatrix}
a_{11} & a_{12} & a_{13} \\
a_{21} & a_{22} & a_{23} 
\end{pmatrix}

물론 3 \times 3 행렬은 다음과 같겠죠.

\tag{1-3}
M_3 = 
\begin{pmatrix}
a_{11} & a_{12} & a_{13} \\
a_{21} & a_{22} & a_{23} \\
a_{31} & a_{32} & a_{33}
\end{pmatrix}

4 \times 3 행렬은 다음과 같겠죠.

\tag{1-4}
M_4 = 
\begin{pmatrix}
a_{11} & a_{12} & a_{13} \\
a_{21} & a_{22} & a_{23} \\
a_{31} & a_{32} & a_{33} \\
a_{41} & a_{42} & a_{43}
\end{pmatrix}

전치행렬이란 원래 행렬에서 행과 열을 바꾼 행렬이에요. 기호로 설명드리면 아래 (2-1)식처럼 행렬 Mij열 원소 a_{ij}를 전치하여 ji열 원소 위치 a_{ji}로 바꾼다는 의미입니다.

\tag{2-1}
M = [a_{ij}] ~~~~~~~~~~\rightarrow~~~~~~~~~~M^{T} = [a_{ji}]

예를 들어 (1-1)식의 1 \times 3행렬을 전치행렬로 만들면 다음과 같이 3 \times 1 행렬이 됩니다.

\tag{2-2}
M_1 = 
\begin{pmatrix}
a_{11} & a_{12} & a_{13}
\end{pmatrix}

~~~~~~~~~~\rightarrow~~~~~~~~~~{M_{1}}^{T} = 
\begin{pmatrix}
a_{11}\\
a_{21}\\
a_{31}
\end{pmatrix}

만일 구체적 숫자를 대입한다면 다음이 되는 것이죠. 예를 들어 1행 2열에 있는 숫자 7은 전치된 행렬에서 2행 1열에 놓여지게 됩니다.

\tag{2-3}
M_1 = 
\begin{pmatrix}
3 & 7 & 2
\end{pmatrix}

~~~~~~~~~~\rightarrow~~~~~~~~~~{M_1}^{T} = 
\begin{pmatrix}
3\\
7\\
2
\end{pmatrix}

같은 방식으로 (1-2)식에 있는 2 \times 3 행렬을 전치하면 3 \times 2 행렬이 될 것임을 짐작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습니다.

\tag{2-4}
M_2 = 
\begin{pmatrix}
{\color {blue}8} & 6 & 9 \\
7 & {\color{blue}1} & 4 
\end{pmatrix}
~~~~~~~~~~\rightarrow~~~~~~~~~~{M_2}^{T}
=
\begin{pmatrix}
{\color{blue}8}&7\\
6&{\color{blue}1}\\
9&4\\
\end{pmatrix}

이제 전치행렬 만드는 방법을 이해하셨을 거에요. 만일 이 방법이 헷갈리신다면 위에서 원래 행렬 M_2의 숫자 8과 1로 이어지는 선을 대각선축이라고 했을 때, 이 축을 중심으로 행렬을 회전시키면 전치행렬 {M_2}^T가 되는 것으로 이해하셔도 좋습니다.

같은 방식으로 (1-3)식의 3 \times 3 행렬을 전치하면 다음과 같아요. 물론 파랑색으로 표기한 대각선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도 전치행렬을 만들 수 있습니다.

\tag{2-5}
M_3 = 
\begin{pmatrix}
{\color{blue}8} & 6 & 9 \\
7 & {\color{blue}1} & 4 \\
6 & 0 & {\color{blue}1}
\end{pmatrix}
~~~~~~~~~~\rightarrow~~~~~~~~~~
{M_3}^T=
\begin{pmatrix}
{\color{blue}8}&7&6\\
6&{\color{blue}1}&0\\
9&4&{\color{blue}1}
\end{pmatrix}

마지막으로 (1-3)식의 3 \times 4 행렬을 전치하면 다음과 같아요.

\tag{2-6}
M_4 = 
\begin{pmatrix}
{\color{blue}8} & 6 & 9 \\
7 & {\color{blue}1} & 4 \\
6 & 0 & {\color{blue}1} \\
3 & 12 & 8
\end{pmatrix}
~~~~~~~~~~\rightarrow~~~~~~~~~~
{M_4}^T = 
\begin{pmatrix}
{\color{blue}8}&7&6&3\\
6&{\color{blue}1}&0&12\\
9&4&{\color{blue}1}&8\\

\end{pmatrix}

전치행렬의 성질 몇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전치된 행렬 A^T을 다시 전치하면 원래 행렬 A로 돌아옵니다.

\tag{3-1}
(A^T)^T = A

두 행렬 A, B의 합을 전치하면 각 행렬을 전치한 후 합한 것과 같습니다.

\tag{3-2}
(A+B)^T = A^T + B^T

두 행렬의 차를 전치하면 각 행렬을 전치한 후 뺄셈한 것과 같습니다.

\tag{3-3}
(A-B)^T = A^T - B^T

상수 k를 행렬 A에 곱한 후 전치하면, A의 전치 A^T에 상수를 곱한 것과 같습니다.

\tag{3-4}
(kA)^T = kA^T

두 행렬을 곱한 후 전치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tag{3-5}
(AB)^T = B^T A^T

이에 대한 증명은 나무위키를 참고해 주세요.

흥미롭고 도움이 되는 글이었나요? 리뷰를 부탁드립니다.
[Total: 1 Average: 5]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