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래머 공식(Cramer’s rule)

Last Updated on 2024-08-07 by BallPen

크래머 공식(Cramer’s rule)이란 1차 연립방정식을 행렬로 변환한 후 미지수 xy를 구하는 공식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 왼쪽의 연립방정식을 행렬로 표현하면 오른쪽과 같아요. 이때 아래 식에서 붉은색 행렬을 \bold A행렬이라고 해봐요.

\begin{cases}
ax + by =c\\
dx + ey =f\\
\end{cases}

~~~~~
\rightarrow
~~~~~
{\color{red}
\begin{pmatrix}
a & b \\
d & e
\end{pmatrix}
}
\begin{pmatrix}
x\\y
\end{pmatrix}
=
\begin{pmatrix}
c\\f
\end{pmatrix}

그리고 위 식에서 xy를 구하는 아래의 공식을 ‘크래머 공식’이라고 말합니다.

\begin{align*}
x={1 \over {det (\bold A)}} 
\begin{vmatrix}
c & b\\
f & e
\end{vmatrix}
\end{align*}
~~~~~,~~~~~
\begin{align*}
y={1 \over {det (\bold A)}} 
\begin{vmatrix}
a & c\\
d & f
\end{vmatrix}
\end{align*}

여기서 det(\bold A )\bold A행렬의 행렬식(determinant)을 뜻해요.

그럼 이제부터 크래머 공식이 어떤 과정으로 만들어지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봐요.

아래는 이번 글의 목차입니다.

아래를 보면 1차 방정식 2개가 있는데요. 여기서 a부터 f까지의 알파벳은 우리가 알고 있는 어떤 숫자들이에요. 그럼 이 두개의 방정식을 연립해서 미지수 xy를 구해보세요.

\tag{1}
\begin{cases}
ax + by =c ~~~~~~~~~~~~~\cdots     \small\textcircled{1}\\
dx + ey =f~~~~~~~~~~~~\cdots     \small\textcircled{2}\\
\end{cases}

방정식의 갯수가 2개뿐이므로 미지수를 구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소거법(elimination method)을 적용해서 푸는 거에요. 이를 위해 위 \textcircled{1}식의 양변에 d를 곱하고, \textcircled{2}식의 양변에 a를 곱한 후 \textcircled{2}식에서 \textcircled{1}식을 빼보세요.

그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begin{align*}
&~~~{{\cancel {adx}}+aey=af}\\
&~~~{{\cancel {adx}}+bdy=cd}\\

&---------\\
&\color{blue}aey-bdy = af-cd
\end{align*}

그리고 윗 식에서 파랑색 수식을 y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아요.

\tag{2}
y = {{af - cd}\over{ae - bd}}

동일한 방식으로 이번에는 위 \textcircled{1}식의 양변에 e를 곱하고, \textcircled{2}식의 양변에 b를 곱한 후 \textcircled{1}식에서 \textcircled{2}식을 빼보세요.

\begin{align*}
&~~~{{{aex}}+{\cancel {bey}}=ce}\\
&~~~{{{bdx}}+{\cancel {bey}}=bf}\\
&---------\\
&\color{blue}aex-bdx = ce -bf
\end{align*}

그리고 윗 식에서 파랑색 수식을 x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아요.

\tag{3}
x= {{ce - bf}\over{ae - bd}}

이와 같이 소거법을 이용하면 미지수 xy를 (2)식과 (3)식으로 쉽게 구할 수 있어요.

위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간단한 연립방정식은 소거법을 이용해 미지수 xy를 쉽게 구할 수 있어요. 그런데 연립 방정식을 행렬로 표현하면 소거법과는 다른 방식으로도 미지수를 구할 수 있는데요.

이때 사용되는 공식을 크래머 공식(Cramer’s rule)이라고 합니다. 물론 공식 풀이 결과는 (2), (3)식의 결과와 같아요.

예를 들어 행렬이 2행 2열인 2×2 행렬과 3행 3열인 3×3 행렬이 포함된 경우에 미지수를 구하는 크래머 공식을 각각 유도해 볼께요.

(1)식의 연립방정식을 행렬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아요.

\tag{4}
\begin{pmatrix}
a & b\\
d & e\\
\end{pmatrix}
\begin{pmatrix}
x\\
y\\
\end{pmatrix}
=
\begin{pmatrix}
c\\
f
\end{pmatrix}

그리고 (4)식을 풀이하여 xy를 구한 결과가 (2)와 (3)식과 동일한 형태가 나오도록 연산법을 정하면 되는 거에요.

이를 위해서는 우선 행렬식(determinant)이라는 것을 먼저 잠시 알아봐요.

[2×2 행렬의 행렬식]

(4)식의 가장 왼쪽에 있는 2×2 행렬을 \bold A행렬이라고 했을 때 그 행렬식은 ‘det (\bold A)‘라고 표기하고 연산법은 아래 그림과 같아요.

[그림 1] 2x2 행렬의 판별식. 크래머 공식 계산을 위해서는 행렬의 판별식을 구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림 1] 2×2 행렬의 행렬식. 크래머 공식 계산을 위해서는 행렬의 행렬식을 구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림과 같이 2×2 행렬의 행렬식은 대각선 성분끼리 서로 곱한 후 빼주면 됩니다. 그런데 왜 저렇게 계산하는가 하고 궁금할 텐데요. 그냥 약속된 행렬 계산 규칙이라고 생각하세요.

그림과 같이 행렬식 결과는 ae-bd가 나오는데요. 이 결과는 (2)식과 (3)식의 분모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그러므로 (2)식과 (3)식의 분모는 (4)식에 주어진 2×2 행렬의 행렬식인 거에요.

그렇다면 (2)식과 (3)식의 분자는 어떻게 나온 것일까요? 그것은 x를 구할 때 \bold A행렬의 첫번째 열을 (4)식의 우변에 있는 행렬로, y를 구할 때 \bold A행렬의 두번째 열을 (4)식의 우변에 있는 행렬로 치환 후 그 행렬식을 계산한 거와 같아요.

말로 설명하니 복잡하지만 아래와 같아요.

x를 ~구할 때\rightarrow 
\begin{vmatrix}
{\color{red} c} & b\\
{\color{red}f} & e
\end{vmatrix}
=ce-bf\\[10pt]

y를 ~구할 때\rightarrow 
\begin{vmatrix}
a & {\color{red}c}\\
d & {\color {red}f}
\end{vmatrix}
=af-cd\\

계산을 왜 이렇게 하는지 크게 고민하지 마세요. 단지 크래머 공식 계산 규칙이며, 이 방법을 적용하면 (2)식과 (3)식의 분자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해요.

결국 미지수 xy는 지금까지 설명한 계산 규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어요. 그리고 이 식을 ‘크래머 공식’이라 부릅니다.

\tag{5}
x= {{
\begin{vmatrix}
{\color{red}c} & b\\
{\color{red}f} & e
\end{vmatrix}

}\over{
\begin{vmatrix}
a & b\\
d & e
\end{vmatrix}
}}
=
{1 \over {det (\bold{A})}} 
\begin{vmatrix}
{\color{red}c} & b \\
{\color{red}f} & e
\end{vmatrix}
={{ce - bf}\over{ae - bd}}

\tag{6}

y= {{
\begin{vmatrix}
a & {\color{red}c}\\
d & {\color{red}f}
\end{vmatrix}

}\over{
\begin{vmatrix}
a & b\\
d & e
\end{vmatrix}
}}
=
{1 \over {det (\bold{A})}} 
\begin{vmatrix}
a & {\color{red}c} \\
d & {\color{red}f}
\end{vmatrix}
={{af - cd}\over{ae - bd}}

아래 (7)식에는 3행 3열의 3×3 행렬이 포함되어 있어요. 이 행렬을 계산해서 미지수 x, ~y, ~z를 구하는 크래머 공식을 만들어 봐요.

\tag{7}
\begin{pmatrix}
a & b & c\\
e & f & g\\
i & j & k
\end{pmatrix}
\begin{pmatrix}
x\\
y\\
z\\
\end{pmatrix}
=
\begin{pmatrix}
d\\
h\\
l
\end{pmatrix}

그 방법은 (5)식과 (6)식의 형태를 3×3 행렬에 맞게 확장하면 됩니다. 여기서 det({\bold B})는 (7)식에 주어진 3×3 행렬의 행렬식을 의미해요.

\tag{8}
x= {{
\begin{vmatrix}
{\color{red}d} & b & c\\
{\color{red}h} & f & g\\
{\color{red}l} & j & k
\end{vmatrix}

}\over{
\begin{vmatrix}
a & b & c\\
e & f & g\\
i & j & k
\end{vmatrix}
}}
=
{1 \over {det (\bold{B})}} 
\begin{vmatrix}
{\color{red}d} & b & c \\
{\color{red}h} & f & g\\
{\color{red}l} & j & k
\end{vmatrix}

\tag{9}
y= {{
\begin{vmatrix}
a & {\color{red}d} & c\\
e & {\color{red}h} & g\\
i & {\color{red}l} & k
\end{vmatrix}

}\over{
\begin{vmatrix}
a & b & c\\
e & f & g\\
i & j & k
\end{vmatrix}
}}
=
{1 \over {det (\bold{B})}} 
\begin{vmatrix}
a & {\color{red}d} & c \\
e & {\color{red}h} & g\\
i & {\color{red}l} & k
\end{vmatrix}

\tag{10}
z= {{
\begin{vmatrix}
a & b & {\color{red}d}\\
e & f & {\color{red}h}\\
i & j & {\color{red}l}
\end{vmatrix}

}\over{
\begin{vmatrix}
a & b & c\\
e & f & g\\
i & j & k
\end{vmatrix}
}}
=
{1 \over {det (\bold{B})}} 
\begin{vmatrix}
a & b & {\color{red}d} \\
e & f & {\color{red}h}\\
i & j & {\color{red}l}
\end{vmatrix}

그런데 문제는 3×3 행렬의 행렬식을 어떤 방식으로 구하느냐가 궁금할 거에요. 아래에 그 방법을 설명드립니다.

[3×3 행렬의 행렬식]

우선 2×2 행렬의 행렬식은 [그림 1]과 같이 대각선끼리 곱한 후 서로 빼주면 구할 수 있었어요. 이 규칙을 그대로 3×3 행렬에 적용해 보세요.

그러면 아래 [그림 2]와 같아요.

그림과 같이 녹색 대각선 방향으로 3개의 원소를 곱하고 주황 대각선 방향으로 3개의 원소를 곱한 후 서로 빼주는 방식이에요.

[그림 2] 3x3 행렬의 판별식. 크래머 공식 계산을 위해서는 행렬의 판별식을 구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림 2] 3×3 행렬의 행렬식. 크래머 공식 계산을 위해서는 행렬의 행렬식을 구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림을 잘 보면 이해할 수 있을 거에요. 처음에는 다소 복잡해보이지만 연필잡고 몇 번 손으로 계산해보면 쉽게 할 수 있어요.

아래 연립방정식의 미지수 xy를 구해 보세요.

\tag{eq-1}
\begin{pmatrix}
3 & 2\\
4 & 1
\end{pmatrix}
\begin{pmatrix}
x \\
y
\end{pmatrix}
=
\begin{pmatrix}
62\\
56
\end{pmatrix}

xy를 구하기 위해서는 (5)와 (6)식의 크래머 공식을 적용하면 됩니다.

\tag{eq-2}
x= {{
\begin{vmatrix}
{\color{red}62} & 2\\
{\color{red}56} & 1
\end{vmatrix}

}\over{
\begin{vmatrix}
3 & 2\\
4 & 1
\end{vmatrix}
}}

={{62 \cdot1 - 2 \cdot 56}\over{3\cdot 1 - 2 \cdot 4}}
=10

\tag{eq-3}

y= {{
\begin{vmatrix}
3 & {\color{red}62}\\
4 & {\color{red}56}
\end{vmatrix}

}\over{
\begin{vmatrix}
3 & 2\\
4 & 1
\end{vmatrix}
}}
={{3 \cdot 56 - 62 \cdot 4}\over{3 \cdot 1 - 2 \cdot 4}}=16

아래 연립방정식의 미지수 x, y, z를 구하세요.

\tag{eq-4}
\begin{pmatrix}
-1 & 4 &3\\
0 & 2 & 2 \\
1 & -3 & 5
\end{pmatrix}
\begin{pmatrix}
x \\
y\\
z
\end{pmatrix}
=
\begin{pmatrix}
2\\
1\\
0
\end{pmatrix}

미지수를 구하기 위해 (8), (9), (10)식의 크래머 공식을 적용합니다. 행렬식은 [그림 2]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곱한 후 서로 빼주는 것을 기억하세요.

\tag{eq-5}
x= {{
\begin{vmatrix}
{\color{red}2} & 4 & 3\\
{\color{red}1} & 2 & 2\\
{\color{red}0} & -3 & 5
\end{vmatrix}

}\over{
\begin{vmatrix}
-1 & 4 & 3\\
0 & 2 & 2\\
1 & -3 & 5
\end{vmatrix}
}}=
{{[20-(-12)]+[0-20]+[(-9)-0]}\over{[(-10) -6) ]+[8-0]+[0-6]}}={{3}\over{-14}}

\tag{eq-6}
y= {{
\begin{vmatrix}
-1 & {\color{red}2} & 3\\
0 & {\color{red}1} & 2\\
1 & {\color{red}0} & 5
\end{vmatrix}

}\over{
\begin{vmatrix}
-1 & 4 & 3\\
0 & 2 & 2\\
1 & -3 & 5
\end{vmatrix}
}}
={{[(-5)-0]+[4-0]+[0-3]}\over{-14}} = {2 \over 7}
\tag{eq-7}
z= {{
\begin{vmatrix}
-1 & 4 & {\color{red}2}\\
0 & 2 & {\color{red}1}\\
1 & -3 & {\color{red}0}
\end{vmatrix}

}\over{
\begin{vmatrix}
-1 & 4 & 3\\
0 & 2 & 2\\
1 & -3 & 5
\end{vmatrix}
}}
=
{{[0-3]+[4-0]+[0-4]}\over{-14}} = {{3}\over{14}}

흥미롭고 도움이 되는 글이었나요? 리뷰를 부탁드립니다.
[Total: 1 Average: 5]

2 thoughts on “크래머 공식(Cramer’s rule)”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