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압 과정 (isobaric process)
5 (6)

열역학적 과정 중 등압 과정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등압 과정 (isobaric process)은 대표적인 열역학적 과정 중의 하나입니다. 열역학을 공부할 때 등적 과정, 단열 과정, 등온 과정과 함께 항상 등장하는 과정이에요. 지난 글인 단열 과정에 이어 기체 분자의 운동을 상상하면서 등압 과정도 함께 이해해 봐요. 아 참 등압 과정은 정압 과정이라고도 불립니다. 시작하겠습니다. 아래는 이번 글의 목차입니다. … Read more

단열 과정 (adiabatic process)
4.3 (18)

열역학적 과정 중 단열 과정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단열 과정 (adiabatic process)은 지난 글에서 설명드린 등적 과정, 등온 과정과 함께 열역학적 과정 중의 하나입니다. 물론 등압 과정도 있어요. 지난 글에 이어 이번 글에서도 기체의 분자 운동을 고려하여 단열 과정을 이해해 봐요. 시작하겠습니다. 아래는 이번 글의 목차입니다. Contents1. 열역학 주요 개념 복습2. 단열 과정2-1. 단열 과정에서의 분자 … Read more

등온 과정 (isothermal process)
5 (9)

열역학적 과정 중 등온 과정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등온 과정 (isothermal process)은 지난 글에서 설명드린 등적 과정과 함께 대표적인 열역학적 과정 중의 하나입니다. 이번에도 기체의 분자 운동을 생각하면서 등온 과정을 이해해봐요. 시작하겠습니다. 아래는 이번 글의 목차입니다. Contents1. 열역학 주요 개념 복습2. 등온 과정2-1. 등온 과정에서의 분자 운동2-2. 등온 과정에서의 열역학 제1법칙2-3. 등온 과정에서의 PV 도표3. … Read more

등적 과정 (isochoric process)
4.9 (7)

열역학적 과정 중 등적 과정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등적 과정(isochoric process) 또는 정적 과정은 대표적 열역학적 과정 중의 하나입니다. 열역학적 과정에는 등적 과정 뿐만 아니라 등온 과정, 단열 과정, 등압 과정 등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체의 분자 운동을 고려하여 등적 과정을 알아 봐요. 함께 시작해보겠습니다. 아래는 이번 글의 목차입니다. Contents1. 열역학 제1법칙1-1. 내부에너지1-2. 열량1-3. 일2. … Read more

FFT 분석 예시: Origin 프로그램 중심으로
5 (10)

Origin 프로그램을 이용해 FFT 분석을 해보고, 제공하는 분석 정보들이 각각 무엇인지 알아봐요. FFT 분석은 신호처리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데요. 그 이유는 분석 대상 신호에 기여하는 사인꼴 파형의 주파수(frequency)와 진폭(amplitude)을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FFT 분석을 위해, 특히 과학분야에서는 OriginLab의 오리진(Origin) 프로그램이 많이 활용되고 있어요. 이번 글은 그 Origin 프로그램으로 어느 신호의 FFT 분석을 해보고, 제공하는 … Read more

지구 내부에서의 중력 크기 변화
4.8 (8)

지표면 아래 지구 내부에서의 중력 변화는 어떻게 될까요? 증가할까요? 아니면 감소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지구 내부에서의 중력 크기 변화를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지난 글에서 중력가속도와 중력의 크기는 지구 표면으로부터 고도가 높아질 수록 작아진다고 말씀드렸어요. 이 관계는 만유인력 법칙으로부터 간단히 유도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만일 지구속으로 들어갈수록 중력 크기 변화는 어떻게 될까요? 함께 알아봐요. 아래는 이번 글의 목차입니다. … Read more

만유인력 법칙에서 r이 물체 중심 사이의 거리인 이유
4.6 (16)

만유인력 법칙의 분모는 두 물체사이의 떨어진 거리 의 제곱으로 주어집니다. 이때 이 물체의 중심과 중심사이의 거리로 계산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을 공부하면서 궁금한 하나의 문제가 있었어요. 왜 두 물체 사이의 떨어진 거리를 두 물체의 중심사이의 거리로 보느냐는 것이었죠. 여러분도 이게 궁금한 적이 있나요? 왠지 당연한것처럼 보이기도 하면서도 갑자기 의문이 들때가 있습니다. 함께 알아봐요. 아래는 … Read more

중력 위치에너지 공식이 mgh인 이유
4.5 (8)

정확한 중력 위치 에너지 공식은 모양을 갖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중력 위치에너지를 로 표현하는 이유는 뭘까요? 중력 위치에너지 공식으로 많은 사람들은 를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전 글에서 유도했던 중력 위치에너지 공식은 처럼 간단하게 표현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가 어떻게 중력 위치에너지로 표현되게 되었을까요? 함께 알아봐요. 아래는 이번 글의 목차입니다. Contents1. 높이에 따른 중력 위치에너지 변화 (복습)2. … Read more

높이에 따른 위치에너지 변화
5 (3)

중력과 마찬가지로 높이에 따라 위치에너지도 변합니다. 위치에너지 공식을 함께 유도해 봐요. 높이에 따른 위치에너지 공식은 높이에 따른 중력과 중력가속도 변화 공식으로부터 유도됩니다. 과연 위치에너지는 높이(또는 고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고 공식은 어떻게 주어질까요? 과연 가 나올까요? 함께 알아봐요. 다음은 이번 글의 목차입니다. Contents1. 높이에 따른 중력2. 높이에 따른 위치에너지2.1. 위치에너지 공식 유도2.2. 무한대인곳에서의 위치에너지는 02.3. 음의 … Read more

고도에 따른 중력 및 중력가속도 변화
4.4 (19)

지구 표면으로부터의 높이에 따라 중력과 중력가속도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는데요. 각각의 변화 형태와 공식을 알아보겠습니다. 고도에 따른 중력 변화를 알아보고 이해하는 것은 아주 재미있어요. 과연 지구 표면으로부터 높이가 높아질수록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중력가속도 크기인 은 어떻게 변할까요? 또 중력의 크기는 어떻게 달라지며 관련 공식은 어떻게 표현될까요?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아래는 이번 글의 목차입니다. Contents1. 고도에 따른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