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각좌표계 (cartesian coordinate system)
5 (2)

직각좌표계 정의와 직각좌표계에서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직각좌표계(cartesian coordinate system)란 직교좌표계의 한 종류입니다. 직각좌표계를 이용하여 공간상에 있는 어떤 입자의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아래는 이번 글의 목차입니다. Contents1. 직각좌표계 정의1-1. 2차원 직각좌표계1-2. 3차원 직각좌표계2. 직각좌표계에서의 위치, 속도, 가속도2-1. 위치2-2. 변위와 속도2-3. 가속도3. 미소면적요소와 미소체적요소3-1. 미소면적요소3-2. 미소체적요소 1. … Read more

삼중곱
5 (4)

삼중곱이란 벡터 3개의 곱셈을 말합니다. 삼중곱에는 스칼라 삼중곱과 벡터 삼중곱이 있어요. 삼중곱(triple product)이란 3개의 벡터가 외적과 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벡터끼리의 곱셈을 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몇가지 삼중곱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재미있어요. 함께해봐요. 아래는 이번 글의 목차입니다. Contents1. 삼중곱2. 스칼라 삼중곱 증명2-1. 스칼라 삼중곱 전개와 행렬 표현2-2. 기하학적 의미3. 벡터 삼중곱 증명3-1. BAC-CAB 공식 (삼중곱 전개)3-2. … Read more

외적 – 벡터끼리 곱하여 벡터가 되는 계산법
5 (25)

벡터끼리 곱하는 한 방법으로 외적이 있습니다. 외적을 하면 그 결과 값은 벡터가 됩니다. 외적(Vector product, Cross product)은 내적(Scalar product, Dot product)과 같이 벡터와 벡터를 곱하는 또 하나의 방법입니다. 차이가 있다면 두 벡터를 내적하면 그 결과가 스칼라가 나오지만 외적하면 벡터가 나옵니다. 그래서 외적을 다른 말로 ‘벡터곱’이라고도 부릅니다. 의외로 계산 방법이 아주 재미있어요. 함께 알아봐요. 아래는 이번 … Read more

암흑 물질 존재의 증거
4.2 (5)

암흑 물질은 관측된 적이 전혀 없어요. 그러나 실제로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암흑 물질(dark matter) 존재 증거를 이번 글에서 소개합니다. 말 그대로 암흑 물질은 우리 인류에게 그 정체를 드러내지 않는 깜깜한 물질에 해당해요. 눈이나 망원경으로는 그 모습이 전혀 관찰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암흑 물질은 우주 구성 물질의 약 26.8%를 차지할 정도로 엄청나게 많아요. 관찰은 되지 않지만 … Read more

반감기(half-life) 뜻과 공식 유도
4.3 (37)

핵물리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반감기 개념에 대해 알아봅니다. 반감기(half-life)는 방사성 원소의 양이 현재의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합니다. 반감기는 연대 측정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그 반감기에 대해 함께 알아봐요. 아래는 이번 글의 목차입니다. Contents1. 방사성 원소의 붕괴2. 방사성 원소의 붕괴율3-1. 붕괴의 법칙 (시간에 따른 부모핵의 갯수 변화)3-2. 붕괴의 활성도 (붕괴율, 방사능세기)4. 반감기4-1. 붕괴곡선을 … Read more

전기쌍극자 (Electric dipole)
4.7 (3)

전기쌍극자가 만드는 전위, 전기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쌍극자(electric dipole)란 전하량이 같은 양전하와 음전하가 서로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존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기쌍극자가 만드는 전위와 전기장에 대해 이야기 하겠습니다. 아래는 이번 글의 목차입니다. Contents1. 전기쌍극자2. 전기쌍극자 전기장2-1. 점전하에 의한 전기장2-2. 전기쌍극자가 만드는 전기장3. 전기쌍극자 전위3-1. 점전하에 의한 전위3-2. 전기쌍극자가 만드는 전위[부록] 전위의 기울기로 전기장 구하기 1. 전기쌍극자 … Read more

정전기 현상의 원리
4.2 (5)

대전체가 도체와 부도체를 끌어당기는 정전기 현상의 원리를 알아봐요. 정전기 현상은 일상 생활에서 많이 경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상대적으로 대기가 건조한 겨울철에 주로 나타나는데요. 겨울철에 옷을 벗을때 따끔따금하거나 금속으로 된 문손잡이를 잡을 때 따금하는 통증이 모두 정전기 현상이죠. 또한 플라스틱 자를 헝겊으로 마찰하면 플라스틱 자에 종이조각이 달라붙는 현상도 대표적인 정전기 현상으로 잘 알려져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 Read more

전하 (electric charge)
5 (1)

전하의 종류, 대전의 원리, 전하량, 전기력, 도체와 부도체, 정전기와 전류에 대한 이야기 전하(electric charge)란 전기적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입니다. 따라서 전하가 있으면 전기적 현상이 나타나고 전하가 없으면 전기적 현상은 나타나지 않아요. 마치 질량이 있어야 중력이 있고 질량이 없으면 중력 현상도 나타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전하와 관련된 다양한 개념들이 존재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그러한 개념들을 개괄적으로 소개합니다. 아래는 … Read more

베르누이 방정식 그리고 토리첼리 정리
4 (6)

베르누이 방정식으로부터 토리첼리 정리를 유도해 보겠습니다. 베르누이 방정식 (Bernoulli’s equation)이란 일-에너지 정리에 따라 유체에 해준 일이 유체의 역학적 에너지 변화와 같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토리첼리 정리 (Torricelli’s theorem)란 유체가 들어 있는 통에 구멍이 있을 때 그 구멍을 통해 빠져나오는 유체의 속력을 구하는 공식을 말해요. 베르누이 방정식으로 토리첼리 정리를 이해할 수 있어요. 또한 조금만 더 고민하면 통에서 … Read more

열량, 비열, 몰비열의 개념
4.4 (9)

어떤 물질에 열량이 전달되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요? 또한 비열, 몰비열은 무엇일까요? 열량 (heat)은 다른 말로 ‘열’이라고도 불립니다. 본 글에서는 ‘열의 양’이라는 의미에서 ‘열량’의 용어를 사용하겠습니다. 과연 열량이란 무엇이고 물체에 열량이 전달되면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요? 또한 비열(specific heat capacity), 몰비열(molar heat capacity)이라는 용어도 있는데요. 열량과는 무슨 관계가 있을까요? 시작해 보겠습니다. 아래는 이번 글의 목차입니다. Contents1. 온도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