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st Updated on 2025-03-29 by BallPen
자동차보험 할인할증등급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사고점수 제도에 대해 알아 봐요.
사고점수 제도라는 것이 있어요. 이 점수는 자동차 보험료를 결정하는 할인할증등급 변화에 직접적 영향을 미쳐요.
사고가 발생하면 사고점수가 부여되는데요. 이 사고점수가 높을수록 보험 갱신할 때 할인할증등급이 올라가 보험료가 매우 비싸집니다. 반대로 사고점수가 0점이면 할인할증등급에 영향을 주지 않아요.
그만큼 사고점수는 아주 중요합니다. 이를 알아야 보험으로 사고를 처리할지 아니면 자비로 처리할지 판단할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자동차보험 알아 보기 2편으로 사고점수 제도를 설명드립니다.
1. 사고점수
자동차보험 알아보기 1편에서 말씀드렸듯이 자동차 보험료는 할인할증등급에 따른 할인할증요율을 기반으로 산정됩니다. 그래서 자동차 보험을 계약할 때 할인할증등급의 변화를 확인하는게 중요해요.
할인할증등급은 1Z등급에 가까울수록 높은 등급으로 보험료가 비싸며, 1Z등급에서 멀수록 등급이 낮아 보험료가 싸집니다.
할인할증등급은 직전 3년간 사고가 없으면 매년 한 등급씩 낮아집니다. 이에 따라 당연히 할인할증요율도 낮아져 보험료가 점점 저렴해져요. 보통 가장 낮은 등급인 29Z까지 연속해서 내려가기 위해서는 18년이 걸립니다.
반면에 사고가 나면 할인할증등급이 쑥쑥 올라가요. 내려갈 때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데 올라가기는 아주 쉬워요. 바꾸어 말하면 보험료 할인을 받는 것은 어려우나 사고 한번에 보험료 할증은 쭉쭉 올라갑니다.
그럼 사고가 나면 할인할증등급이 몇 등급씩 올라가느냐? 이게 궁금할 텐데요. 그래서 만들어진게 사고점수 제도에요.
사고점수 제도는 사고 유형과 규모에 따라 점수표를 만들어 놓고 사고 발생시 적용해서 몇 점의 사고점수인지를 산출하는 방식이죠. 그리고 계약 갱신시 점수 1점마다 할인할증등급을 한 등급씩 올려 할증을 하게 됩니다.
간단히 사고점수 부여 기준을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아요.
사고 내용 및 정도 | 사고점수(점) | 할인할증등급 변화 |
---|---|---|
사망사고 | 4점/건 | 건당 4개 등급 상승 |
상해사고에 의한 상해 급수 발생 | 1점/건 ~ 4점/건 | 건당 1~4개 등급 상승 |
자기신체사고 | 1점/건 | 건당 1개 등급 상승 |
물적담보(대물배상, 자기차량손해)가 할증기준금액 초과 | 1점/건 | 건당 1개 등급 상승 |
물적담보(대물배상, 자기차량손해)가 할증기준금액 이하 | 0.5점/건 | 변화없음 |
표에서와 같이 사고 내용 및 정도에 따라 사고점수가 부여됨을 알 수 있어요.
[할증기준금액과 사고점수]
위 [표]에서 주의해서 보아야 할 것은 물적담보에서 대물배상과 자기차량손해액이 자동차보험 계약시 설정한 할증기준금액 이하이더라도 건당 0.5점이 부여된다는 거에요. 따라서 당해년도에 할증기준금액 이하 사고를 두번내면 누적 1점이 되어 할인할증등급이 한 등급 상승됩니다.
예를 들어 보험계약시 할증기준금액을 200만원으로 설정했을 경우 물적담보 사고금액에 따른 사고점수와 할인할증등급 변화를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아요.
물적담보 사고 금액 | 사고점수 | 할인할증등급 변화 |
---|---|---|
200만원 이하의 물적사고 1건 | 0.5점 | 변화없음 |
200만원 이하의 물적사고 2건 | 1점 (=0.5점x2건) | 1개 등급 상승 |
200만원 초과 물적사고 1건 | 1점 | 1개 등급 상승 |
2. 사고점수를 0점으로 바꾸는 방법 : 사고 환입
크던 작던 사고가 발생하면 경황도 없고 처리과정에서 당사자간 갈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보통 보험사에 신고하여 처리합니다. 그런데 고객입장에서는 자비로 처리해야 유리한 소액 사건을 보험으로 처리해서 나중에 보험료가 크게 올라가 버리지 않을까 걱정하게 돼요.
물론 큰 사고라면 당연히 보험으로 처리해야겠지만요. 그래서 보험을 드는 거잖아요. 하지만 소액 사고의 경우에는 고민이 될 수 있어요.
예를들어 얼마 전에 문콕이 발생해서 보험으로 처리했는데 이번에 발생한 작은 접촉사고까지 보험으로 처리하면 할인할증기준금액 이하의 물적사고 2건이 되어 계약 갱신시 할인할증등급이 1개 등급 상승되어 버리니까요.
이 경우에도 고민하지 마시고 일단 보험으로 처리해달라고 보험사에 말하세요. 그러면 보험사에서 알아서 사고처리를 도와 줍니다.
그리고 어느 정도 주변 정리가 되는대로 보험사로 전화 해 사고점수를 물어보시고 상승할 보험료를 미리 계산해 보세요. 계산 결과 자비로 처리하는게 유리한 상황이라면 보험사로 다시 전화해서 사고환입하겠다고 말하면 됩니다.
사고환입은 사고로 인해 보험사가 지급한 금액을 모두 되돌려줌으로써 보험사의 사고처리 금액을 0원으로 만드는 거에요.
그러면 당연히 사고점수가 0점이 되어 보험 갱신할 때 할인할증등급 상승을 막을 수 있습니다.
3. 사고점수 조회 방법 : 자동차보험료 할인할증요인 조회시스템
과거 수 년 사이의 사고점수를 조회할 수 있는 전산시스템을 소개합니다. 이 시스템은 보험개발원에서 운영하는데요. 자동차보험료 할인할증요인 조회시스템이에요.
위 링크를 클릭하면 아래의 화면이 열립니다.
![[그림 1] 사고점수 조회를 위해서는 자동차보험료할인할증요인조회시스템에 접속하면 됩니다.](https://ballpen.blog/wp-content/uploads/2025/03/Screenshot-2025-03-28-at-7.51.02-PM-1024x413.jpg)
이 화면에서 가운데에 있는 할인할증요인조회를 클릭하세요. 그러면 사용자 로그인 창이 열려요. 로그인하시고 개인정보이용 동의 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아래 [그림 2]처럼 할인할증요인 조회창이 나와요. 그곳을 보면 자동차 보유 내역과 가입보험사, 보험시기(보험이 시작되는 날), 보험종기(보험이 끝나는 날) 등이 나올거에요.
![[그림 2] 할인할증요인 조회 화면](https://ballpen.blog/wp-content/uploads/2025/03/Screenshot-2025-03-28-at-7.58.47-PM-1024x202.jpg)
그 화면에서 오른쪽을 보시면 전계약과 현재계약, 그리고 현재계약과 갱신계약을 비교하는 버튼이 있으니 눌러보시면 이전계약, 현재계약, 갱신계약의 내용을 각 항목별로 비교할 수 있답니다.
아래 [그림 3]은 전 계약과 현 계약 내용을 비교하는 화면 중 일부인데요. 사고경력, 법규위반경력, 할인할증등급 등의 정보를 알 수 있어요. 저는 현재 할인할증등급이 28F 등급이에요.
![[그림 3] 전 계약과 현 계약의 비교 화면](https://ballpen.blog/wp-content/uploads/2025/03/Screenshot-2025-03-28-at-8.09.50-PM-1024x322.jpg)
한편 그림에서 빨강색 상자로 표기한것처럼 사고경력(최근3년) 항목을 클릭해보면 사고가 있을 경우 아래 [그림 4]와 같은 사고경력 상세정보가 나옵니다.
![[그림 4] 사고경력 상세정보 화면. 사고점수 2.0점이 부과되었음을 알 수 있어요.](https://ballpen.blog/wp-content/uploads/2025/03/Screenshot-2025-03-28-at-8.18.53-PM-1024x293.jpg)
그 화면에서 가장 오른쪽을 보시면 사고점수를 볼 수 있어요.
저는 2022년에 중과실을 범한 상대차량과 충돌하는 사고가 있었는데요. 저의 과실이 상대적으로 적은 상황이었음에도 사고점수 2.0점이 부과되었음을 알 수 있어요.
여러분들도 한번 조회해 보시기 바랍니다.
1 thought on “사고점수 : 자동차보험 알아 보기 2편”